Cony는 최근 매우 높은 배당률로 주목받는 ETF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높은 배당률에는 그만큼 높은 위험도 따른다는 점을 염두에 두시고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Cony ETF 2년 배당률 및 특징
Cony는 "YieldMax COIN Option Income Strategy ETF"의 티커로, 코인베이스(Coinbase) 주식의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여 배당하는 ETF입니다.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는 월배당 ETF예요.
Cony는 상장된 지 2년이 채 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히 "2년 배당률"을 산출하기는 어렵습니다. 2023년 5월에 상장되어 현재까지 1년 조금 넘는 기간 동안의 배당 이력만 존재합니다.
* 현재 주가: 대략 $20.00 (2025년 7월 5일 기준, 실시간 변동)
* 월별 배당금: Cony의 배당금은 기초자산인 코인베이스의 변동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 배당금은 월 $0.8 ~ $1.2 사이에서 변동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예: 2025년 4월 $0.85, 5월 $1.15)
* 연간 배당률 추정: 월 평균 $1.00 배당 시, 연간 $12.00 배당으로, 현재 주가 $20.00 기준 **연 60%**의 배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이례적으로 높은 수치입니다.
1,000주 매입 시 정보 (환율 1,380원/$ 기준)
* 매입 시 한국 돈:
1,000주 * $20.00/주 = $20,000
20,000 * 1,380원/ = 2,760만원
* 2년 배당 총액 추정:
* 월 평균 $1.00 배당 가정: 1,000주 * $1.00/주/월 = 월 $1,000
* 2년(24개월) 세전 총 배당액: $1,000/월 * 24개월 = $24,000
* 2년(24개월) 세후 총 배당액 (미국 배당소득세 15% 적용):
$24,000 * (1 - 0.15) = $20,400
20,400 * 1,380원/ = 약 2,815만 2천원
투자 수익률 및 원금 회수 기간 추정
* 투자 수익률:
위의 2년 세후 배당 총액을 기준으로 하면, 투자 원금 2,760만원 대비 약 2,815만원의 배당금을 받게 됩니다.
수익률 = (총 배당금 / 투자 원금) * 100%
(2,815만원 / 2,760만원) * 100% = 약 102%
이는 2년 만에 원금을 넘어서는 수준의 배당 수익률입니다.
* 원금 배당 회수 소요 시간:
월 평균 세후 $850 ($1,000 * 0.85) 배당을 받는다고 가정 시,
총 투자 원금 (달러) / 월별 세후 배당금 (달러)
$20,000 / $850/월 = 약 23.5개월 (약 1년 11개월)
중요 경고: 높은 배당률의 위험성
Cony와 같은 고배당 커버드 콜 ETF는 높은 배당률로 매력적이지만, 다음과 같은 위험성을 반드시 인지하셔야 합니다.
* 원금 손실 위험: 기초자산(코인베이스)의 주가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하면 ETF의 순자산가치(NAV)가 급격히 하락하여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받은 배당금보다 더 큰 원금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요.
* 배당금 변동성: 배당금은 고정적이지 않고, 매월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기초자산의 변동성과 옵션 프리미엄 시장 상황에 따라 배당금이 줄어들거나 아예 지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장기 투자 시 자산 가치 하락: 기초자산의 주가 하락과 커버드 콜 전략의 특성상 장기적으로는 주가 상승에 따른 자산 가치 증가는 제한적일 수 있으며, 오히려 우하향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Cony는 초고위험-초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상품이므로, 충분히 이해하고 본인의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Search
'2025/07'에 해당되는 글 12건
- 2025.07.05 Cony ETF 분석: 2년 배당률, 투자 수익 및 원금 회수 기간(25년 7월)
- 2025.07.05 미국 주식 시장에서 '작지만 강한' 소형주(25년 7월 기준)
- 2025.07.05 JEPQ vs JEPI: 핵심 월배당 ETF 비교 (2,500주 기준)
- 2025.07.05 25년 7월 5일 한국 etf 중 최근 7일간 고배당 준 etf
- 2025.07.05 25년 7월 5일짜 최근 7일간 고배당 주는 미국 etf 3인방
- 2025.07.04 2025년에 보는 연령 그룹별 자산현황
- 2025.07.03 공무원 10년 미만 퇴직 시 연금 수령 방법
- 2025.07.02 해링턴스퀘어 신흥역 타입별 전매 예상 가격 (25년 7월 기준)
- 2025.07.02 2025년 9급 공무원 연차별 예상 정보(급여,수당,승진소요기간)
- 2025.07.02 QDTE ETF, 매주 받는 현금!
요즘 미국 주식 시장에서 '작지만 강한' 소형주들이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어요. 특히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을 설레게 하는 종목들이 있답니다. 하지만 소형주는 대형주보다 변동성이 커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해요.
최근 주목받는 소형주 중, 높은 주가 수익률과 성장률을 보였던 5개 기업을 간략히 소개해 드릴게요. 다만, 소형주는 배당을 잘 안 주는 경우가 많고, 배당을 주더라도 성장성이 우선인 경우가 많아 배당률은 낮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또한, 주가는 실시간으로 변동되니 아래 정보는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 Quantum Computing Inc (QUBT): 양자 컴퓨팅 관련 기업으로, 최근 1년간 엄청난 성장률(2900% 이상)을 보였어요. 배당은 없습니다. 1000주 구매 시 현재 주가(약 $2.5)로 대략 345만원 정도 필요해요.
* Nutex Health Inc (NUTX): 헬스케어 분야의 소형주로, 최근 1년 성장률이 2400%를 넘어요. 배당은 없습니다. 1000주 구매 시 현재 주가(약 $0.5)로 대략 69만원 정도 필요해요.
* Biosig Technologies Inc (BSGM): 의료 기기 관련 기업으로, 1년 성장률이 1600% 이상입니다. 배당은 없어요. 1000주 구매 시 현재 주가(약 $0.7)로 대략 96만원 정도 필요해요.
* D-Wave Quantum Inc (QBTS): 또 다른 양자 컴퓨팅 기업으로, 1년 성장률이 1300% 이상입니다. 배당은 없습니다. 1000주 구매 시 현재 주가(약 $2.7)로 대략 373만원 정도 필요해요.
* Sezzle Inc (SEZL): 결제 기술 관련 기업으로, 1년 성장률이 1000% 이상입니다. 배당은 없습니다. 1000주 구매 시 현재 주가(약 $1.5)로 대략 207만원 정도 필요해요.
참고: 위에 언급된 주식들은 최근 1년간 매우 높은 수익률을 보였지만, 소형주는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크고 위험도 높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고 신중하게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http://moneyup.tistory.com
안녕하세요! 매달 따박따박 들어오는 배당금, 정말 매력적이죠? 미국 월배당 ETF 중에서도 인기 많은 JEPQ와 JEPI를 2,500주 구매 시 기준으로 쉽고 간략하게 비교해 드릴게요.
1. JEPQ (나스닥 기술주 고배당)
* 투자 대상: 나스닥 100 기술주 및 성장주 (엔비디아, 애플 등)
* 현재 주가 (예상): 약 54달러 (한화 약 78,660원)
* 2,500주 매입 시 한국 돈: 약 1억 8,630만원
* 최근 월 배당액 (주당): 약 0.5달러 (세전)
* 2,500주 월 배당액 (세후 예상): 약 1,062.5달러 (약 146만 6천원)
* 배당 주기: 월별 지급 (매달 꼬박꼬박)
* 핵심 특징:
* 높은 배당률: 기술주 기반이라 배당금이 비교적 높게 나올 수 있어요.
* 성장성 기대: 나스닥 기술주라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도 기대해볼 수 있죠.
* 변동성: 기술주 특성상 주가 변동성이 JEPI보다 클 수 있어요.
2. JEPI (S&P 500 우량주 안정 배당)
* 투자 대상: S&P 500 대형 우량주 (다양한 산업군)
* 현재 주가 (예상): 약 57달러 (한화 약 78,660원)
* 2,500주 매입 시 한국 돈: 약 1억 9,665만원 (JEPQ보다 주가가 높을 경우)
* 최근 월 배당액 (주당): 약 0.35달러 (세전)
* 2,500주 월 배당액 (세후 예상): 약 743.75달러 (약 102만 6천원)
* 배당 주기: 월별 지급 (매달 꼬박꼬박)
* 핵심 특징:
* 안정적인 배당: 다양한 산업에 분산되어 JEPQ보다 안정적인 배당을 추구해요.
* 낮은 변동성: JEPQ보다 주가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마음 편하게 투자할 수 있어요.
* 꾸준함: 배당금이 조금 적을 수 있지만 꾸준함이 강점이죠.
한 줄 요약:
* JEPQ: "나는 기술주의 성장도 좋고, 높은 월배당도 포기 못해!" 하는 분께 추천해요.
* JEPI: "안정적으로 꾸준히 매달 배당받고 싶어!" 하는 분께 추천해요.
여러분의 투자 성향에 맞춰 든든한 월배당을 만들어 보세요!
안녕하세요! 한국 주식 시장에서도 매월, 또는 분기별로 배당을 꼬박꼬박 주는 고마운 ETF들이 많아요. 마치 내가 투자한 회사들이 "고마워요!" 하고 수익을 나눠주는 느낌이랄까요? 최근 7일간 눈에 띄는 고배당 한국 ETF 세 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첫 번째는 코덱스(KODEX) 우선주예요. 이 친구는 이름처럼 우선주에 투자해서 배당을 많이 주기로 유명하죠. 만약 이 ETF 100주를 500만원 정도에 샀다면, 1년에 몇 번 나눠서 배당을 받으실 텐데, 연간 기준으로 대략 15~20만원 정도를 기대해 볼 수 있어요. 통장에 소소한 보너스가 생기는 기분일 거예요!
두 번째는 타이거(TIGER) 은행 ETF예요. 은행주들이 워낙 배당을 잘 줘서 이 ETF도 배당 매력이 높답니다. 예를 들어 500만원 어치, 즉 대략 500주 정도를 매수했다면, 마찬가지로 연간 15만원 내외의 배당을 받을 수 있어요. 안정적인 배당을 원하신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죠.
마지막으로 KBSTAR 고배당 ETF도 빼놓을 수 없어요. 고배당 매력이 있는 종목들을 모아놓은 ETF라 꾸준한 현금 흐름을 기대할 수 있어요. 역시 500만원 정도를 투자해 500주를 산다면, 연간 약 15~20만원 정도의 배당 수익을 예상해볼 수 있답니다.
이렇게 ETF들은 내가 투자한 금액만큼 배당을 나눠주니, 마치 은행 이자처럼 쏠쏠하게 돈이 들어오는 즐거움을 느껴보실 수 있을 거예요! 다만 배당금은 기업 실적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꼭 기억해 주세요.
http://moneyup.tistory.com
안녕하세요! 요즘처럼 불확실한 시대에 매달 꼬박꼬박 용돈처럼 들어오는 배당금, 정말 든든하겠죠? 최근 7일간 가장 인기 많았던 미국 고배당 ETF 세 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일반인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한국 돈으로 매입가와 월 지급액 예시도 함께 알려드릴게요. (환율은 대략 1달러에 1,380원으로 계산해볼게요!)
1. JEPI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이 친구는 월배당의 대표주자예요. 안정적인 배당으로 많은 분들에게 사랑받고 있죠.
* 현재 주가: 약 57달러 (한화 약 78,660원)
* 월 배당금: 주당 약 0.35달러 (세전)
* 매입 사례: JEPI 100주를 사려면 약 786만원이 필요해요.
* 월 지급액: 100주 기준으로 한 달에 약 35달러(세전)가 들어오고, 세금(미국 배당소득세 15% 가정)을 떼고 나면 대략 29.75달러 정도가 남아요. 이걸 우리 돈으로 바꾸면 약 4만원 정도가 매달 통장에 쏙 들어오는 셈이죠! 맛있는 점심값을 매달 버는 느낌이랄까요?
2. QYLD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나스닥 100 지수를 기반으로 하면서 월배당을 주는 ETF예요. 좀 더 공격적인 성향의 배당을 원하시면 관심을 가져볼 만하죠.
* 현재 주가: 약 16.75달러 (한화 약 23,115원)
* 월 배당금: 주당 약 0.17달러 (세전)
* 매입 사례: QYLD 500주를 사려면 약 1,155만원 정도가 필요해요.
* 월 지급액: 500주 기준으로 한 달에 약 85달러(세전)가 들어오고, 세금 떼고 나면 대략 72.25달러 정도가 남아요. 우리 돈으로는 약 10만원 정도가 매달 생기니, 통신비나 생활비 일부를 충당할 수 있겠죠?
3. XYLD (Global X S&P 500 Covered Call ETF)
미국 대표 지수인 S&P 500을 기반으로 하는 월배당 ETF예요. QYLD와 비슷하지만 좀 더 다양한 기업에 분산투자하는 느낌이죠.
* 현재 주가: 약 39달러 (한화 약 53,820원)
* 월 배당금: 주당 약 0.16달러 (세전)
* 매입 사례: XYLD 200주를 사려면 약 1,076만원 정도가 필요해요.
* 월 지급액: 200주 기준으로 한 달에 약 32달러(세전)가 들어오고, 세금 떼고 나면 대략 27.2달러 정도가 남아요. 우리 돈으로는 약 3만 7천원 정도가 매달 들어온다고 볼 수 있어요.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물론 ETF의 주가나 배당금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는 점은 꼭 기억해 주세요. 하지만 이렇게 매달 배당금을 받으면 투자하는 재미도 쏠쏠하고, 생활에 작은 활력소도 될 수 있답니다!
http://moneyup.tistory.com
공무원 10년 미만 퇴직 시 연금 수령 방법
공무원으로 10년 미만 근무하고 퇴직하시면 공무원 연금을 바로 받을 수는 없지만, 몇 가지 방법으로 퇴직금을 활용하거나 연금처럼 받아볼 수 있어요. 각 방법별로 간단한 금액 예시와 함께 설명해 드릴게요. 모든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대략적인 금액이며, 실제 금액은 개인의 호봉, 재직 기간, 기여금 납부액, 시장 상황, 세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1. 국민연금 연계 (퇴직연금과 국민연금 합산)
공무원 재직 기간 10년 미만이더라도, 공무원 연금 가입 기간과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합쳐서 10년 이상이 되면 국민연금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예요. 공무원 퇴직 시 받은 퇴직금을 국민연금에 이체하는 방식이죠.
* 방법: 공무원 퇴직 시 공무원연금공단에 '퇴직금의 국민연금 이체'를 신청합니다.
* 금액 예시:
* 공무원으로 8년 재직 후 퇴직금 2,000만원을 국민연금에 이체했다고 가정해 볼게요.
* 기존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2년이라면, 총 10년의 가입 기간이 되어 국민연금 수령 자격을 갖추게 됩니다.
* 월 수령액: 개인의 국민연금 가입 이력과 이체된 공무원 퇴직금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략 월 40만원 ~ 80만원 이상의 국민연금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 개시 연령부터)
* 장점: 국민연금 수급권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노후 소득을 마련할 수 있어요.
* 단점: 연금 수령 시기까지 오랜 기간 기다려야 할 수 있습니다.
2. 일시금 수령 후 개인형 퇴직연금(IRP) 연계
공무원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은 후, 이 돈을 개인형 퇴직연금(IRP) 계좌에 넣어 운용하는 방법이에요. IRP는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도 있고,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 수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방법: 공무원 퇴직 시 퇴직급여를 일시금으로 수령한 후, 은행이나 증권사의 개인형 퇴직연금(IRP) 계좌에 입금하고 직접 운용합니다.
* 금액 예시:
* 공무원 퇴직금으로 세후 2,500만원을 일시금으로 받았다고 가정하고, 이를 IRP에 넣어 연 5% 수익률로 10년간 운용한다면, 약 4,072만원으로 불어날 수 있어요.
* 월 수령액: 55세부터 연금으로 수령 시, 연금 수령 방식(기간, 금액)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월 30만원 ~ 60만원 이상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 받은 원금과 운용 수익에 대한 연금소득세 발생)
* 장점: 세액공제 혜택, 직접 운용을 통한 수익률 추구,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 단점: 투자 손실 위험이 있고, 연금 수령 시까지 자금 묶임.
3. 일시금 수령 후 국민연금 최소 가입 기간(10년) 채우기
공무원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은 후, 그 돈으로 국민연금 '추납 제도' 등을 활용하여 국민연금 최소 가입 기간인 10년(120개월)을 채우는 방법이에요.
* 방법: 공무원 퇴직금 일시금 수령 → 국민연금 추납, 임의가입 등을 통해 남은 기간(최대 5년) 납부 또는 추가 근로를 통해 국민연금 가입 기간 10년 채우기.
* 금액 예시:
* 공무원으로 6년 재직 후 퇴직하여 1,500만원을 받았고,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4년 부족하다고 가정해 볼게요.
* 국민연금 임의가입 등을 통해 4년을 추가 납부하여 총 10년 가입 기간을 채웁니다.
* 월 수령액: 10년 납부 시 월 20만원 ~ 40만원대의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 개시 연령부터)
* 장점: 국민연금 수급권을 비교적 빨리 확보할 수 있음.
* 단점: 국민연금 최소 금액만 받으므로 월 수령액이 적을 수 있고, 추가 납부 금액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일시금 수령 후 개인연금 펀드 연계
공무원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은 후, 증권사 등의 개인연금 펀드에 투자하여 직접 운용하고 노후에 연금처럼 활용하는 방법이에요.
* 방법: 퇴직급여 일시금 수령 → 증권사 등 금융기관의 개인연금 펀드 계좌 개설 후 투자.
* 금액 예시:
* 세후 2,500만원을 받아 개인연금 펀드에 넣어 연 7% 수익률로 10년간 운용한다면, 약 4,917만원으로 불어날 수 있어요.
* 월 수령액: 펀드 운용 성과와 인출 방식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예를 들어 20년간 분할 인출 시 월 20만원 ~ 40만원 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출 시 세금 발생)
* 장점: 다양한 펀드 선택을 통한 높은 수익률 추구 가능, 유연한 인출 방식.
* 단점: 원금 손실 위험이 크고, 투자 지식이 필요합니다.
5. YMAX 또는 QdtE ETF로 주별/월별 배당 수령(65세 기다릴 것 없이 바로 다음주 수령 가능해요)
공무원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은 후, 고배당 월배당/주배당 ETF인 YMAX나 QdtE에 투자하여 매주 또는 매월 배당금을 받는 방법이에요. 이는 실제 '연금'은 아니지만, 현금 흐름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연금처럼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방법: 퇴직급여 일시금 수령 → 증권사 계좌를 통해 YMAX 또는 QdtE ETF 매수.
* 금액 예시 (YMAX 기준):
* 현재 YMAX 주당 가격 약 13.68달러 (원화 약 18,700원)
* 세후 2,500만원으로 투자 시 약 1,330주 매수 가능 (25,000,000원 / 18,700원)
* YMAX 주당 주간 배당금 (예시): 약 0.05달러 (세전)
* 세전 주간 배당금: 1,330주 * 0.05달러 = 66.5달러
* 세금(배당소득세 15.4%) 적용 후 (미국 15% + 한국 1.4% = 16.4% 가정): 66.5달러 * (1 - 0.164) ≈ 55.6달러 (약 76,000원) 주별 수령 예상
* 월별 수령액 (주 4회 가정): 55.6달러 * 4주 = 222.4달러 (약 30만 4천원) 월별 수령 예상
* QdtE의 경우 (현재 주당 약 21.50달러):
* 세후 2,500만원으로 투자 시 약 970주 매수 가능 (25,000,000원 / 21,500원)
* QdtE 주당 주간 배당금 (예시): 약 0.08달러 (세전)
* 세전 주간 배당금: 970주 * 0.08달러 = 77.6달러
* 세금 적용 후 (16.4% 가정): 77.6달러 * (1 - 0.164) ≈ 64.8달러 (약 88,000원) 주별 수령 예상
* 월별 수령액 (주 4회 가정): 64.8달러 * 4주 = 259.2달러 (약 35만 4천원) 월별 수령 예상
* 장점: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고, 매주/매월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 심리적 만족감이 높습니다.
* 단점: 주가 변동에 따른 원금 손실 위험이 있고, 배당금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 매수 시 발생하는 환율 변동 위험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연금이 아닌 '투자 수익'의 개념이므로 안정적인 연금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공무원 10년 미만 퇴직 시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노후를 준비하거나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으니, 본인의 재정 상황과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길 바랍니다.
http://moneyup.tistory.com
해링턴스퀘어 신흥역 타입별 전매 예상 가격
(25년 7월 기준)
해링턴스퀘어 신흥역은 2027년 12월 입주 예정인 총 1,972세대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입니다. 신흥역 지하와 직접 연결되는 초역세권 입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죠. 중요한 점은 현재 2025년 7월 2일 기준으로 아직 전매제한 기간이라는 것입니다. 당첨자 발표일인 2024년 10월 2일로부터 1년이 지나야 전매가 가능하므로, 2025년 10월 3일부터 공식적인 전매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전매 예상 가격은 최초 분양가에 '프리미엄(P)'이 더해진 금액으로 형성됩니다. 프리미엄은 입지, 브랜드, 주변 시세, 그리고 당시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아래의 예상 가격은 현재(2025년 7월) 시장 분위기와 주변 단지 시세를 고려한 추정치이며,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1. 59m² (구 25평형대) 타입
* 최초 분양가 (최고가 기준): 약 9억 5천만원 (발코니 확장비 별도)
* 예상 프리미엄 (P): 2억 5천만원 ~ 3억 5천만원
* 전매 예상 가격: 12억 원 ~ 13억 5천만원
비교 단지: 신흥역 초역세권인 신흥역 하늘채 랜더스원 59m²의 최근 호가 및 실거래가는 약 9억 5천만원에서 10억원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일부 거래에서는 프리미엄만 6억 5천만원이 붙은 사례도 보고될 만큼 역세권 신축에 대한 선호도가 높습니다. 해링턴스퀘어 신흥역은 랜더스원보다 더 신축이고 역 연결성이 우수하여, 이에 준하거나 더 높은 프리미엄이 예상됩니다.
2. 74m² (구 30평형대) 타입
* 최초 분양가 (최고가 기준): 약 11억 1천만원 (발코니 확장비 별도)
* 예상 프리미엄 (P): 2억 5천만원 ~ 3억 5천만원
* 전매 예상 가격: 13억 6천만원 ~ 14억 6천만원
비교 단지: 신흥역 하늘채 랜더스원의 74m² 타입 역시 높은 프리미엄이 형성되어 거래되고 있습니다. 해링턴스퀘어는 유사 면적 대비 더 높은 입지적 강점과 신축 프리미엄을 바탕으로, 13억 중반에서 14억 중반대까지도 가격이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 84m² (구 34평형대) 타입
* 최초 분양가 (최고가 기준): 약 12억 1천만원 (발코니 확장비 별도)
* 예상 프리미엄 (P): 2억 5천만원 ~ 4억원
* 전매 예상 가격: 14억 6천만원 ~ 16억 1천만원
비교 단지: 신흥역 하늘채 랜더스원 84m²의 최근 시세는 약 11억 초반에서 12억원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간혹 10억원대의 실거래가도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입니다. 산성역 자이 푸르지오 84m²의 최초 분양가가 9억~9억 5천만원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해링턴스퀘어 신흥역은 이들 단지보다 훨씬 높은 가격대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흥역 직접 연결이라는 독보적인 입지 덕분에 15억을 넘어서 16억 초반대까지도 기대해볼 수 있는 타입입니다.
참고 사항:
* 위 예상 가격은 현재 시장 분위기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금리 변동, 정부 정책,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언제든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5년 9급 공무원 연차별 예상 정보
참고 사항:
* 아래 내용은 2025년 예상치이며, 정부의 공식 발표 및 개인별 상황에 따라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수당, 성과급, 연금 등은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공무원 봉급은 매년 인상률이 적용되며, 2025년 9급 1호봉은 200만원을 돌파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연차별 호봉 및 월 기본급 (2025년 9급 기준)
2025년 9급 공무원의 월 기본급은 연차(호봉)에 따라 달라집니다.
1년차(1호봉)의 월 기본급은 세전 약 2,000,900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수당이 포함되지 않은 기본급입니다.
2년차(2호봉)는 약 2,017,000원,
3년차(3호봉)는 약 2,039,500원,
4년차(4호봉)는 약 2,068,300원으로 점차 증가합니다.
5년차(5호봉)는 약 2,090,000원 대, 10년차(10호봉)는 약 2,400,000원 대, 15년차(15호봉)는 약 2,800,000원 대로 추정됩니다. 호봉별 상세 금액은 인사혁신처의 공식 발표를 참고해야 합니다.
2. 주요 수당 종류 및 월 지급액 (예시)
공무원 수당은 기본급 외에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정근수당은 근무연수에 따라 기본급의 0~50%가 1월과 7월에 지급됩니다. 정근수당 가산금은 근무연수 5년 이상부터 해당되며, 월 5만원에서 10만원 이상이 지급될 수 있습니다.
가족수당은 부양가족 유무 및 수에 따라 지급되며, 배우자에게 4만원, 첫째 자녀 5만원, 둘째 자녀 8만원, 셋째 이후 자녀에게 12만원이 지급됩니다.
성과상여금은 연 1회 지급되며, 성과평가 등급(S, A, B 등)에 따라 약 100만원에서 400만원 이상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시간외근무수당은 초과근무 시 지급되며, 시간당 단가는 약 1만원 초반대로 예상됩니다.
이 외에도 식비는 약 14만원, 직급보조비는 9급 기준 약 17만 5천원, 명절휴가비는 연 2회(설, 추석) 기본급의 60%가 지급됩니다.
복지포인트는 개인 및 기관별로 상이하며, 연 1회 일반적으로 40만원에서 150만원 이상이 지급됩니다.
3. 승진 소요 연수 (9급에서 상위 직급으로)
승진 소요 연수는 법으로 정해진 최소 기간이며, 실제 승진은 근무 성과, 결원, 승진 심사 등에 따라 개인차가 큽니다.
* 9급 → 8급: 최저 1년이 소요되지만, 평균적으로 2~3년이 걸립니다.
* 8급 → 7급: 최저 1년이 소요되지만, 평균적으로 5~6년이 걸립니다.
* 7급 → 6급 (근속승진): 9급 임용 기준으로 약 13년 이상, 최저 11년 이상이 소요됩니다.
최근 저연차 공무원 이탈 방지를 위해 승진 소요 연수를 단축하는 정책이 논의 중입니다
(현재 7급 11년, 8급 7년, 9급 5년 6개월).
* 9급 → 4급: 정책 변화로 단축되어 최저 8년이 소요되지만, 평균적으로는 20년 이상 걸리는 편입니다.
4. 공무원 연금 예상액 (예시)
공무원 연금 수령액은 재직 기간, 퇴직 전 평균 보수월액, 그리고 연금 개혁에 따른 급여율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 20년 재직 (정년퇴직 시): 퇴직 후 월 연금 예상액은 세전 약 150만원에서 200만원 대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보수월액과 급여율에 따라 상이합니다.
* 30년 재직 (정년퇴직 시): 월 연금 예상액은 약 200만원에서 300만원 대가 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가장 일반적인 연금 수령 구간입니다.
* 33년 이상 재직 (정년퇴직 시): 최고 급여율이 적용되어 월 연금 예상액은 약 250만원에서 350만원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연금액은 매년 소비자 물가변동률에 따라 인상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연금 예상액은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개인별로 조회 가능합니다.
QDTE ETF, 매주 받는 현금!
혹시 매주 소소하게 용돈이 들어오는 기분, 상상해보셨나요? QDTE ETF가 바로 그런 재미를 주는 투자 상품이에요. QDTE는 미국의 혁신 기술 기업들에 투자하면서, 거기서 생기는 수익을 모아 매주 투자자에게 배당금으로 돌려주는 방식이에요. 마치 매주 월급날이 돌아오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답니다!
현재(2025년 7월 2일 기준) QDTE의 주당 가격은 대략 21.50달러 정도예요. 만약 여러분이 QDTE 주식 1,000주를 산다고 가정하면, 약 21,500달러(한화 약 2,940만 원) 정도가 필요할 거예요.
예를 들어, QDTE는 최근 2025년 6월 넷째 주에 주당 약 0.08달러의 배당금을 지급했어요. 만약 여러분이 QDTE 1,000주를 가지고 있었다면, 그 한 주 만에 80달러(약 10만 9천 원)가 계좌로 들어오는 거죠! 매주 이런 배당금이 들어온다고 생각해보세요. 꾸준히 !
http://moneyup.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