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에 대한 씨티증권의 상세 리포트
1. 씨티증권 SK하이닉스 상세 내용
씨티증권은 SK하이닉스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 최신 목표주가: 2025년 7월 14일자 기사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43만원으로 제시했습니다.
* 긍정적 전망의 근거:
* HBM 및 GDDR 시장 리더십: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및 그래픽스 더블 데이터 레이트(GDDR) 시장에서 강력한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합니다.
* TSMC와의 HBM4 협력: 대만 TSMC와의 HBM4(6세대 HBM) 기술 협력을 통해 HBM 리더십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HBM 패키지 내 최하단에 탑재되는 '베이스 다이' 성능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고급스럽고 맞춤형 HBM 칩 생산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 실적 개선 기대: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연말까지 실적 우상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2분기부터 메모리 가격 반등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유통 재고 재고 확충, 고부가 서버 랙 출하 확대, PC 교체 수요 등이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입니다.
2. SK하이닉스 지분율 현황
SK하이닉스의 주요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4월 25일 기준):
* 최대주주: 에스케이스퀘어 외 7인: 20.07%
* 외국인 지분율: 약 55.29% (변동 가능)
* 국민연금공단: 7.35% (2025년 7월 7일 기준)
* 자기주식 (자사주+자사주신탁): 5.16% (2025년 4월 25일 기준)
* The Capital Group Companies, Inc.: 7.27% (주요 5% 이상 주주 중 하나)
씨티그룹의 SK하이닉스 지분율 관련:
씨티는 SK하이닉스의 GDR(Global Depositary Receipt) 발행과 관련된 예탁 기관(Depositary)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과거 하이닉스(현 SK하이닉스)의 비메모리 사업부 매각(마그나칩 반도체) 등 재무 구조 개선 과정에서 씨티그룹 벤처 캐피탈이 참여한 이력이 있습니다.
맥쿼리증권의 SK하이닉스 상세 리포트 내용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목표주가 및 투자 의견:
* 맥쿼리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31만원에서 36만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 투자의견은 **'시장 수익률 상회(Outperform)'**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이는 12개월 기대 수익률이 4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2. 긍정적 전망의 핵심 요인: HBM 리더십
* HBM 시장의 독보적인 선두 주자: 맥쿼리증권은 SK하이닉스가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에서 사실상 단독 선두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고 평가합니다.
* 급격한 HBM 비중 증가: 전체 D램 매출 중 HBM 비중이 2027년까지 현재 약 45% 수준에서 74%까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는 수익성이 높은 HBM이 SK하이닉스 실적을 견인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 주요 고객사와의 강력한 협력: 엔비디아(65%), 브로드컴(20%), 아마존웹서비스(AWS, 15%) 등 주요 AI 반도체 및 클라우드 기업들이 SK하이닉스의 핵심 고객으로 언급됩니다. HBM3E(5세대) 12단 제품이 이미 주요 고객사에 공급되고 있으며, 후속 HBM4(6세대) 12단 제품 또한 조기 샘플 공급에 성공했습니다.
* 파격적인 영업이익 전망: 맥쿼리증권은 SK하이닉스의 2027년 영업이익이 무려 90조 7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영업이익(23조 4673억 원)의 4배가 넘는 수준으로, 국내 증권사 전망치를 훨씬 뛰어넘는 파격적인 수치입니다. 이 예측은 HBM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SK하이닉스의 HBM 리더십에 대한 강한 확신에 기반합니다.
* 자사주 매입 등 주주 환원 확대 가능성: 내년에 초과현금이 발생하면서 자사주 매입 등 주주 환원 정책이 확대될 가능성도 긍정적인 투자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 현 PBR은 고평가 아님: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R)이 2.4배 수준으로, 가파른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평가 상태가 아니며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합니다.
3. 투자 리스크 요인:
* 청주 M15X 공장 건설 지연: 생산 능력 확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입니다.
* 중국 업체의 시장 진입 가능성: 장기적으로 HBM 시장 경쟁 심화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HBM4 생산 수율 저하: 차세대 HBM 양산 과정에서의 기술적 문제 발생 가능성입니다.
* HBM 매출의 엔비디아 쏠림 완화 및 매출처 다변화의 필요성: 특정 고객사 의존도가 높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입니다.
* 미국·중국 등 지정학적 변수: 반도체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시적인 리스크입니다.
4. 종합 의견:
맥쿼리증권은 SK하이닉스가 HBM 시장의 독점적인 리더십을 바탕으로 압도적인 실적 성장을 이룰 것이라는 매우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7년 영업이익 90조 원이라는 전망치는 다른 증권사의 예측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HBM 시장의 성장성과 SK하이닉스의 기술력에 대한 강한 믿음을 보여줍니다. 다만, 일부 리스크 요인도 함께 언급하고 있어 투자 결정 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HBM 시장의 경쟁 심화 및 가격 하락 가능성에 대한 다른 투자 기관들의 견해도 나오고 있으므로, 다양한 리포트와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에 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